Coding/Python 24

[python] if 문 / elif 문 ( 비교연산자, 논리연산자, 포함연산자 )

if 조건문 elif 조건문 비교 연산자 ( == ... ) 논리 연산자 ( and, or., not ) 포함 연산자 ( in, not in ) if 조건문 - if 조건문이란 참과 거짓을 판단하여 밑에있는 명령어를 실행하는 문장을 말합니다. 기본구조 ############### ## if 조건문 ## ############### if command : commands else : commands ex ) #################### ## if 조건문 예시 ## #################### >>> A = 100 >>> if A == 100 : ... print ("Hello") ... else : ... print ("bye") ... Hello ※ python 에서는 들여쓰기(..

Coding/Python 2021.11.23

[python] 집합 ( set ) 자료형 이란? / 집합 구하기 / 관련 함수 ( add, update, remove )

집합 자료형 ( set ) -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. 집합 자료형 ( set ) 의 특징 중복을 허락 하지 않음. 리스트나 튜플과 다르게 순서가 없음. ( 인덱싱으로 값 추출 불가능 ) set( ) 괄호 안에 리스트나 문자열을 입력하여 만들 수 있음. ex) ######################### ## 집합 ( set ) 자료형 ## ######################### ## set( ) 괄호 안에 리스트 입력 ## >>> S = set([1,2,2,3,3,3,4,4,4,4,5,5,5,5,5]) >>> print(S) ## set( ) 괄호 안에 문자열 입력 ## >>> S = set("HELLLLOOOOO") >>> print (S) {'L', 'O', '..

Coding/Python 2021.11.21

[python] 딕셔너리 (Dictionary) 란? / 관련 함수 ( keys, values, items, clear, get, in )

딕셔너리 ( Dictionary ) - 해석 그대로 '사전'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 Key값 과 Value 값이 한쌍으로 대응관계를 가지고 있는 자료형입니다. 딕셔너리의 형식은 리스트,튜플과는 다르게 순차적으로 해당 요구값을 구하지않고, key 값을 통해 Value 값을 얻습니다. ex) ## Dictionary의 기본 형식 { key:value } ## >>> dic = {"python":"language", "today":"wonderful", "myblog":"haru's tistory"} ## Value 값 불러오기 ## >>> dic["python"] "language" >>> dic["today"] "wonderful" ## key:value 쌍 추가 ## >>> dic = {"hell..

Coding/Python 2021.11.20

[python] 튜플 ( tuple ) 이란?

튜플 ( Tuple ) - 여러가지 형식의 데이터를 담는 자료형. ( ) 괄호로 묶고 쉼표로 구분된 데이터를 리스트 형식으로 지정한것을 일컫습니다. 리스트, 딕셔너리와의 차이점으로는 대표적으로 튜플 안의 값을 변경할 수 없다는 점에 있습니다. 따라서,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그 값이 항상 변하지 않기를 바랄 때 주로 사용된다. 하지만 실제 프로그램에서는 값이 변경되는 형태의 변수가 훨씬 많기 때문에 튜플보다는 리스트가 더 많이 쓰임. ex) ## 튜플 기본형 ## >>> T = () ## 튜플은 () 괄호로 데이터를 둘러 쌈. >>> T = (1,) ## 데이터가 하나만 들어갈 경우에는 반드시 뒤에 ,(콤마) 기입. >>> T = (1,2,3) >>> T = 1,2,3 ## () 괄호를 생략해도 됨. ..

Coding/Python 2021.11.20

[python] 리스트 관련 함수 ( 추가, 정렬, 뒤집기, 삭제)

리스트 관련 함수 데이터 추가 함수 ( append, insert, extend ) append, insert, exptend 설명 / 차이점 리스트 데이터 정리 ( sort / sorted ) 리스트 데이터 뒤집기 ( reverse / reversed ) 데이터 삭제 ( delete, pop, clear, remove ) delete, pop, clear, remove 설명 / 차이점 ● 데이터 추가 함수 - append() 리스트의 마지막에 데이터를 추가하는 함수. 파라미터 값으로 단일 데이터 대신 리스트를 넣게 되면, 단일 데이터로 인식하게 됨. (리스트와 같은 반복 가능 iterable 자료형 이더라도 하나의 객체로 저장됨. A.append(n) ex) # 문자열 마지막에 데이터 추가. >>> A..

Coding/Python 2021.11.19

[python] count, len 함수

count 함수 - 문자열에서 원하는 문자나 단어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. syntax : method.count("찾을 문자나 단어", start, end) start : 문자열에서 (문자나 단어) 찾을 범위 중 시작 지점 지정. end : 문자열에서 (문자나 단어) 찾을 범위 중 종료 지점 지정. ex ) # start, end 입력 안했을시 문자열 전부 검색 >>> A = "aaa3bbbbb5ccccccc7" >>> A.count("a") 3 >>> A = "aaa3bbbbb5ccccccc7" >>> A.count("b",0,5) 1 >>> A = "aaa3bbbbb5ccccccc7" >>> A.count("c",0,10) 0 len 함수 - 문자열의 길이 또는 리스트안 데이터의 개수를 구하는 함수 ..

Coding/Python 2021.11.11

[python] format() 함수

format 함수 format 함수란? 자료형을 이용한 format 함수 변수를 이용한 format 함수 format 함수를 이용한 소수점 표현 f-string format 함수 정렬 - format 함수란? 부분적으로 숫자나 문자를 자주 바꾸어 출력 해주어야 하는 서식에 용이. 출력문 안에 바꿔줄 부분을 {0},{1},{2},{3}...차례로 기입. ex) >>> print("{0} X {1} = {2}".format(2,5,10)) 2 X 5 = 10 - 자료형을 이용한 format %d, %f, %s 등 자료형을 넣어준 뒤에, 기본 format 형식에 넣어주었던 .format() 대신 %() 기입. ex) >>> print("%s date is %d.%d.%f"%("today",2021,11,3))..

Coding/Python 2021.11.11

[python] startswith() / endswtich() ( 문자열 시작과 끝 문자 확인 )

startswith 함수 - 문자열의 시작부분이 설정해준 문자로 시작할 경우 True / 아닐 경우 False를 반환해주는 함수. code : startswith(str, start, end) str : 문자열 맨 앞에서 찾고 싶은 단어 입력. start : 문자열에서 검색 시작 위치 설정. end : 문자열에서 검색 끝 위치 설정 ex) # startswich example # 문자열 전체 범위에서 문자열 맨앞이 Today 라는 단어로 시작하는지 검색 >>> A = "Today is so cold" >>> print (A.startswich("Today")) True # 문자열 전체 범위에서 문자열 맨앞이 cold 라는 단어로 시작하는지 검색 >>> A = "Today is so cold" >>> pr..

Coding/Python 2021.11.11

[python] find, index 함수 ( 문자열에서 문자 찾기 )

find / index 함수 - find 함수 code : method.find("찾고싶은 문자", start, end) - index 함수 code : method.index("찾고싶은 문자", start, end) start : 문자열 안에서 문자를 찾을 범위 시작 지정. end : 문자열 안에서 문자를 찾을 범위 종료 지정. ※ find / index 함수 차이점. 두 함수 모두 같은 구조 이지만, 차이점이 존재합니다. - find 함수는 리스트, 튜플, 딕셔너리에서 사용불가능 하며, 찾는 문자가 없을 경우 -1 출력. - index 함수는 리스트,튜플에서 사용 / 딕셔너리에서는 사용불가능 하며, 찾는 문자가 없을 경우 ValueError가 발생합니다. ex) # find 함수 # 문자 찾기 >>>..

Coding/Python 2021.11.10

[python] 알파벳 대/소문자 변환 함수 (upper, lower...)

upper lower isupper / islower capitalize title upper 함수 - 문자열에서 영어 소문자에 해당하는 부분을 대문자로 바꿔주는 함수. syntax : method.upper() ex) >>> A = "hello welcome" >>> B = A.upper() >>> print (B) 'HELLO WELCOME' lower 함수 - 문자열에서 영어 대문자에 해당하는 부분을 소문자로 바꿔주는 함수. syntax : method.lower() ex) >>> A = "HELLO WELCOME" >>> B = A.lower() >>> print (B) 'hello welcome' isupper, islower 함수 isupper 함수 - 문자열 안에 있는 문자가 '전부' 대문자..

Coding/Python 2021.11.09